Sour - Heaven, USA Review

Sour - Heaven, USA Review

Return to Music Reviews 2025

Sour - Heaven, USA

Heaven, USA isn’t just another hardcore album — it’s a living, breathing testament to displacement, rage, and reclamation. On the surface, the record hums with distortion, with riffs that bite and drums that hit like falling fists. But beneath the noise lies something far more intimate and complex: the ache of Korean adoptees navigating identity across oceans, paperwork, culture, and silence. Each riff feels like a wound reopening; every scream a name uttered for the first time, raw and unmediated.

The band’s command of chaos and control feels deliberate, precise yet visceral. Deep grooves and pounding drums thread through tracks like 호적 and HEAVEN, USA, establishing a sonic identity crisis — music that oscillates between tight, furious bursts and heavy, dragging menace. That tension between speed and weight, clarity and distortion, becomes the album’s language for alienation and belonging. Even when riffs blur into one another, the direction is never lost; the music captures the sensation of straddling two worlds, two selves, neither fully fitting.

Tracks like DIASPORA BLUES and DOKKAEBI STOMP snarl with unbridled fury, thrash and stomp and howl with a deliberate ferocity, while quieter moments such as WON FOR LIFE and PEACETIME CHILD expose the album’s emotional undercurrent. Here, the noise doesn’t merely assault; it breathes. Washed-out guitars and rolling drums allow reflection to seep through, suggesting that the fight for identity isn’t always waged in motion. Sometimes it exists in the pauses — the fragile, uncertain peace that feels both earned and fleeting.

The bass is the album’s heartbeat, grounding the chaos in something tangible, almost spiritual. On tracks like CANARY YELLOW and TOMBSTONE WITH WINGS, it vibrates with the quiet persistence of memory, giving the record a physicality that transforms Heaven, USA from sound into embodiment — muscle and breath, endurance and survival. Even the album’s imperfections feel deliberate. The uneven swing of ANGELS RESIDE IN FULTON COUNTY or the abrupt bleed from 호적 into the title track read as sonic metaphors for the disjointedness of an adoptee’s life — moments of tension and release, chaos and clarity, coexisting in the same frame.

Duality runs through the album: clean and gritty, fast and slow, furious and tender. The production reflects this beautifully, capturing every blow while maintaining a raw, human edge. At the emotional core is 엄마. It isn’t merely a track — it is the anchor of the album, the gravitational center. “Mom” becomes both question and absence, resonating backward through every riff, every scream, until the entire album reads like one long conversation with someone who might never answer.

Sour’s achievement lies not in technical perfection but in representation. As The Korea Times observed, the band joins a growing movement of adoptee and Korean-diaspora artists redefining how punk can express identity and pain. Where punk is often rebellion, Sour wields it as remembrance: riffs are archives, drums are protest chants, vocals open wounds and turn them into art.

The beauty of Heaven, USA is that it never chooses between anger and sorrow, East and West, memory and motion. It thrives in the messy middle — where DIASPORA BLUES meets PEACETIME CHILD, where DOKKAEBI STOMP dances beside WON FOR LIFE. Every song title reads like a fragment of one sentence: a story of loss, reclamation, and transformation, noise turned into language.

Ultimately, Heaven, USA isn’t about finding home. It’s about building one — with distortion, grief, and memory. In doing so, Sour proves that punk can still be profound: a space where the displaced finally have the chance to sound like themselves.

Heaven, USA는 단순한 하드코어 앨범이 아니다. 이 앨범은 실재하는, 숨 쉬는 증언이며, displacement(이주), 분노, 그리고 자기 재획득의 기록이다. 표면적으로 이 레코드는 디스토션으로 가득하며, 기타 리프는 날카롭고 드럼은 주먹처럼 내려친다. 그러나 그 소음 밑에는 훨씬 더 개인적이고 복합적인 감정이 흐른다. 바로 한국계 입양인들이 대양과 서류, 문화와 침묵을 가로질러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아 헤매는 아픔이다. 각 리프는 상처가 다시 벌어지는 듯하고, 각 비명은 처음 불려지는 이름처럼 날 것 그대로이다.

밴드의 혼돈과 통제의 균형은 의도적이며 정밀하게 느껴진다. 호적HEAVEN, USA와 같은 곡에서는 깊은 그루브와 강렬한 드럼이 엮여 일종의 음향적 정체성 위기를 만들어낸다. 빠르고 치밀한 폭발과 무겁고 느릿한 위협이 교차하며, 속도와 무게, 선명함과 디스토션 사이의 긴장은 곧 소속과 소외를 말하는 앨범의 언어가 된다. 리프들이 서로 섞이는 순간에도 방향감각은 잃지 않는다. 음악은 두 세계, 두 자아 사이에 걸쳐 있는 느낌을 전달하며, 어느 쪽에도 완전히 속하지 못하는 상태를 표현한다.

DIASPORA BLUESDOKKAEBI STOMP는 날카로운 분노로 으르렁거리며, 쓰러지고 밟고 울부짖는다. 반대로 WON FOR LIFEPEACETIME CHILD와 같은 조용한 순간들은 앨범의 감정적 깊이를 드러낸다. 여기서 소음은 단순한 공격이 아니라 호흡한다. 흐릿한 기타와 굴러가는 드럼은 성찰을 가능하게 하며, 정체성을 위한 싸움이 항상 움직임 속에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때로는 정지 속, 얻어낸 듯하지만 불안정한 평화 속에서 싸움이 존재한다.

베이스는 앨범의 심장과도 같다. CANARY YELLOWTOMBSTONE WITH WINGS에서는 기억의 고요한 지속성처럼 진동하며 혼돈을 육체적·영적 차원으로 연결한다. 이 물리적 감각 덕분에 Heaven, USA는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몸과 호흡, 생존의 방식으로 다가온다. 앨범의 불완전함조차도 의도적이다. ANGELS RESIDE IN FULTON COUNTY의 불균형한 스윙이나 호적에서 타이틀 트랙으로의 급격한 연결은 입양인의 삶의 단절감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소리적 장치처럼 느껴진다.

앨범 전체에 걸쳐 이중성이 존재한다. 깨끗함과 거침, 빠름과 느림, 분노와 부드러움이 공존한다. 프로덕션은 이를 아름답게 담아내며, 모든 타격을 생생히 들려주면서도 인간적인 거친 감각을 잃지 않는다. 앨범의 정서적 중심에는 엄마가 있다. 단순한 트랙이 아니라, 앨범 전체를 끌어당기는 중력의 중심이다. “엄마”라는 단어는 질문이자 부재가 되며, 모든 리프와 비명 속으로 뒤로 흘러가 앨범 전체가 마치 답하지 않을지도 모르는 사람과의 긴 대화처럼 느껴진다.

Sour의 업적은 기술적 완벽함이 아니라 표현에 있다. The Korea Times가 지적했듯, 밴드는 입양인 및 한인 디아스포라 아티스트의 성장하는 움직임 속에서, 펑크가 정체성과 고통을 표현하는 방식을 재정의하고 있다. 다른 이들이 펑크를 반항으로 착용한다면, Sour는 이를 기억으로 사용한다. 그들의 리프는 기록이고, 드럼은 시위의 외침이며, 보컬은 상처를 열어 예술로 만든다.

Heaven, USA의 아름다움은 분노와 슬픔, 동양과 서양, 기억과 움직임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않는 데 있다. 앨범은 혼돈 속에서 빛난다 — DIASPORA BLUESPEACETIME CHILD와 맞닿고, DOKKAEBI STOMPWON FOR LIFE 옆에서 춤춘다. 모든 곡 제목은 하나의 문장 조각처럼 읽히며, 상실과 재생, 변형의 이야기를 담는다.

결국, Heaven, USA는 집을 찾는 이야기가 아니다. 디스토션과 슬픔, 기억으로 집을 만들어가는 이야기다. Sour는 펑크가 여전히 깊이 있을 수 있음을 증명한다. 그곳은 드러난 이들이 마침내 자신답게 소리칠 수 있는 공간이다.

Rating: 9.5/10

NOTABLE TRACKS: 

HEAVEN, USA

DOKKAEBI (도깨비) STOMP

WON FOR LIFE

엄마

Instagram review

Return to Music Reviews

Return to  Music Review 2025

Back to blog

Leave a comment

Please note, comments need to be approved before they are published.